02. URI

02. URI

요약 #

URI : Uniform Resource Identifier #

(통일화 된) 자원(리소스) 식별자 ..?

URI 의 종류 #

  • URL (Uniform Resource Locator)
    • scheme, host, port, query parameter(string), fragment
      • fragment
        • 서버에 전송하는 정보 X
        • html 내부 북마크 등에 사용
  • URN (Uniform Resource Name)

URN 이 잘 안쓰이는 이유?

자원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‘고유’해야한다.
‘이름’으로 ‘고유성’을 갖기는 힘들지 않을까..?
이름을 고유한 번호 형태로 부여할 수도 있을텐데(e.g. ISBN)
이렇게 되면, 식별하기 어려울 것이다.

반변 ‘Locator’ 기반으로 하면 (애초에)IP(서버) 가 다 다르니까 ‘고유성’을 갖기 더 수월하지 않을까..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