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미지 파일의 구조 #
각각의 이미지 파일은,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 데이터, 데이터의 저장 구조, 압축 방식이 다르다.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한다는 것은 (1) 데이터의 저장구조 (2) 압축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.
압축 #
손실 압축 → 비손실 압축 #
손실 압축 시점에 이미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됐다. 손실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손실 없는(비손실) 압축을 수행해 압축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.
비손실 압축 → 손실 압축 #
비손실 압축 시 데이터의 손실은 없었다. 손실 압축 방식으로 변환 시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다. 이는 최초의 원본 데이터를 손실 압축하는 과정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.
형식 별 주요 특징 #
| 형식 | 압축 방식 (손실 / 비손실) | 투명도 | 애니메이션 | 주요 용도 |
|---|---|---|---|---|
| JPEG | 손실 | X | X | 사진, 웹 이미지 |
| WebP | 손실 / 비손실 | O | X | 웹 이미지, GIF 대체 |
| TIFF | 손실 / 비손실 | O | X | 인쇄, 고화질 이미지 |
| AVIF, HEIF | 손실 / 비손실 | O | O | 고효율 압축 |
| JXL | 손실 / 비손실 | O | O | 차세대 표준, 높은 효율성 |
| PNG | 비손실 | O | X | 로고, 아이콘, 그래픽 |
| GIF | 비손실 | O (1bit) | O | 간단한 애니메이션 |